리버스엔지니어링(역공학)/치트엔진

치트엔진 튜토리얼 3단계 실수형

CodeHS 2019. 1. 30. 13:09

1.치트엔진 튜토리얼 Step 3 실수형

이번단계에서는 실수형에대해서 다루어 볼것이다.

소수를 나타낼때 쓰는타입이 두가지가 있다. float ,double

double이 float보다 좀더 세부적으로 소수점뒷자리를 길게 나타나게 해준다.

이것을 응용하면 예를들어 케이크 한개가있다. 한개가있으면 값이 1인데 케이크 반을 먹었다고 치면

0.5가되는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표현하기위해서는 이런것들도 필요하다는것을 기억하자.



우선 벨류타입을 float으로 바꿔준다. 그리고 100을 뉴스캔후 때려서 나온값을 넥스트스캔한다.

값이한개가나오는데 1단계랑 비슷하다. double도 같은 형식으로 하면된다.


값을 5000으로 바꾸고 때려주면 피가 올라간것을 볼수있다. double도 같은방법으로 하면 된다.

벨류타입을 더블로 바꿔서 스캔해주면되므로 생략을 하겠다.

다음글에서는 4단계를 다뤄보도록 하겠다.